면접….. 말로만 들어도 부담되고 걱정되는 우리 취준생들의 영원한 울렁거림 중 하나인 면접에 대해서 이번 시간에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서류전형만 통과되는 것도 요즘 같은 취업난에 대단한 일인데 정작 너무 떨어서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시는 분들을 보면 너무 마음이 안타깝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면접 준비 편]으로 취준생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에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거창하진 않을지라도 누구보다 간절했던 지원자로서, 좋은 직원을 뽑고자 했던 면접관으로서 느꼈던 생각들을 나누어 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내용이 많으니, 면접 장소에 가기 전 준비하면 좋은 것들을 먼저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각 회사마다 바라는 인재상이라는 게 존재하는 편입니다. 뭐 예를 들면 창의적인 인재, 도전하는 인재, 고객지향적인 인재 등이죠. 지원하는 회사의 인재상을 먼저 파악한 다음 본인이 살아오면서 경험했던 일들을 카테고리별로 정리해놓는 것이 큰 도움이 될 겁니다. 요즘의 면접 트렌드를 보면 대부분의 회사에서 지원자를 판단할 때 과거의 본인이 어떤 경험을 했고 그 속에서 어떤 것들을 느꼈는지를 묻는 경험 기반 질문들이 많을 건데, 면접관들은 지원자의 경험을 토대로 깊이 있게 질문하거나 우리 회사에 적합한 사람인지를 많이 판단한답니다.
어떤 회사들은 지원자가 경험한 것처럼 거짓으로 할 수 있으니 꼬리에 꼬리를 물어서 질문하는 경우도 있죠. 그러니 평소에 본인의 다양한 경험(인턴, 해외봉사, 알바, 동아리 활동, 조별 과제)들을 나열해보고 그 속에서 지원하는 회사의 인재상과 맞는 에피소드들을 정리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답니다.
면접관도 결국 한 회사의 직원이고 고용된 사람으로서 CEO의 경영철학과 중점 추진전략, 관심사에 대해서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 지원자에게 호감이 더 갈 수밖에 없습니다. 지원 회사 내에 지인이 근무하고 있다면 좋을 테지만, 그럴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면 지원하고자 하는 회사 대표의 이름을 포털에서 조회하여 최근의 뉴스 기사 등을 보시는 게 가장 빠르게 지원 회사의 현안 및 집중하고 있는 사업분야 등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겁니다.
어느 면접관이든 지원자가 왜 우리 회사에 지원했는지는 너무나 궁금한 질문입니다. 대부분의 지원자들은 이 질문에 대해서 준비해 오는 편인데, 조금 더 구체적일 필요가 있습니다. 단순히 업계 내 1등이라서 최고의 회사에서 일하고 싶어서라든지, 평소 관심 있던 회사라서 지원했다는 답변보단 더 구체적일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제가 생각하기에 A라는 업체는 OO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B라는 업체에 비해서 OO분야에서 경쟁우위가 있습니다. 하지만 OO 분야에서는 B라는 업체 대비 열세인 상황인데 제가 가진 OO 경험이 OO분야에서도 도움이 되리라 확신합니다.
지원자는 구체적인 업무를 알기에는 내부정보 접근이 어렵기 때문에 누구나 정보 접근이 가능한 산업 내에서 지원하는 회사의 위치 및 핵심 경쟁력 등을 파악하여 본인의 장점/경험과 콜라보해서 어필할 수 있어야 합니다.
면접관을 하다 보면 달변가에게 혹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그만큼 자신감 있는 어조로 자신의 생각을 거침없이 표현하는 분에게 호감을 더 느끼게 된답니다.(물론 본인의 주장에 대한 근거가 뒷받침되어야겠죠) 이런 경우 대부분은 지원하는 회사를 경험했거나(인턴, 단기 알바 등), 면접 준비를 잘했거나로 나뉩니다.
그룹을 지어서 하는 모의 면접이 아니더라도 거울 앞에서 본인이 예상하던 질문들은 당당하게 말할 수 있도록 수도 없이 연습해야 합니다. 면접 분위기가 아무리 편하다고 해도 면접은 불편하고 떨리는 자리이기 때문에 미리 본인이 소리 내어서 연습해보지 않으면 실전에서 실수하기 마련입니다. 기존 면접 족보를 통해서 자꾸 반복되어 나오는 질문들은 바로 답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자신감 있게 말할 수 있답니다.
이 외에도 무수히 많은 면접 가기 전 준비해야 할 것들이 있지만 그런 것들에 대해서는 다른 글들도 있으니 실무에서 느꼈던 작은 팁 위주로 적어봤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면접 실전 편으로 면접 장소에 가서 좋은 인상을 심어주며 합격 가능성을 높이는 팁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짧은 글이지만 작게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 공감 부탁드리겠습니다.
내가 낸 국민연금은 언제,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국민연금 공제액, 국민연금 납입액 조회, 예상 연금수령액 확인) (0) | 2022.02.09 |
---|---|
내 월급으로 예상퇴직금을 알 수 있다?(퇴직금 예상액, 내 퇴직금 계산하기) (0) | 2022.02.08 |
소득세는 내 월급의 몇 %? 소득세 계산방법을 알아보자(월급 공제내역, 근로소득세) (0) | 2022.02.03 |
월급에서 공제내역을 알아보자(알기쉬운 월급명세서) (0) | 2022.01.25 |
돈이 모이는 맞벌이부부 월급관리 알려드려요 (부부 월급관리 tip, 부부 월급 모으기) (0) | 2021.12.15 |
댓글 영역